카테고리 없음 / / 2025. 7. 8. 12:23

집 한 채로 돈 버는 법? 부동산 사이클을 알면 해답이 보인다

반응형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에서 '집'은 단순한 거주 수단이 아닙니다. 거주와 투자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집을 산다는 것은 곧 '투자'의 의미를 지니죠. 즉, 손해를 보느냐, 이익을 보느냐는 판단이 집을 살 때 반드시 따라와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집을 한 채만 소유한 채로도 자산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부동산 사이클과 전세 전략을 잘 활용하면 '집 한 채로도 돈을 버는' 전략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목차



    실거주냐, 투자냐? 둘 다 고려해야 하는 한국 부동산 시장

    많은 사람들이 집값이 올라도 "내 집만 오르고 남의 집도 오르니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교 대상 자체가 잘못된 겁니다.

    진짜 비교해야 할 대상은 집을 가진 사람과 안 가진 사람, 즉 유주택자와 무주택자입니다. 부동산 시장이 상승할 때, 유주택자는 자산이 늘어나지만 무주택자는 전세에 머물러 있을 뿐 자산 증식 효과를 보지 못합니다.

    집 한 채를 살 때 투자 마인드가 반드시 필요하다

    2013년 한 예비 신혼부부가 집을 살까 말까 고민하던 사례가 있습니다. 계약금조차 없던 상황이었지만 전문가의 조언으로 소득 대비 무리가 되지 않는 수준에서 투자 결정을 내렸고, 몇 년 뒤 그 아파트는 1억 원 이상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여기서 끝이 아니라는 것. 집값이 오른 후엔 반드시 하락기가 오기 때문에, 그 시점에 적절하게 집을 매도하고 전세로 전환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사이클을 이해해야 돈을 번다

    한국 부동산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사이클을 따릅니다.

    • 상승기: 7~8년
    • 하락기: 약 6년
    • 횡보기 포함 약 15년 주기

    이 흐름을 이해한다면, 집을 매수하고 보유하는 시점, 매도하고 전세로 전환하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이클을 이용한 전략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점에서 집을 매수한다
    2. 세 배 정도 올랐을 때 매도한다
    3. 전세로 거주하며 하락기를 피한다
    4. 다음 사이클 저점에서 다시 매수한다

    왜 전세로 전환하는가?

    하락기에는 집값이 하락하면서 자산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반면 전세는 자산 손실이 거의 없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처럼 목돈이 크지 않은 경우, 하락기 때 매매를 고집하다가는 수 년간 모은 자산을 한 번에 잃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하락기에는 전세, 상승기에는 매매 전략이 중요합니다. 자산의 안전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집 한 채로도 자산을 늘릴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

    1. 상승기 초반에 집을 매수한다
    2. 가격이 세 배 정도 오르면 매도 후 전세로 전환
    3. 하락기를 전세로 버티며 자산 보전
    4. 다음 사이클 시작 시점에 저가 매수
    5. 사이클을 반복해 자산을 키워나간다

    또한, 보유 중인 집을 매도한 후, 다른 지역에서 상승 가능성이 높은 아파트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입니다. 이처럼 사이클을 분석하고 대응한다면, 집 한 채로도 자산을 불릴 수 있습니다.

    요약 정리

    • 한국의 집은 거주 + 투자 개념이 동시에 작용
    • 집을 살 땐 반드시 투자 관점이 필요
    • 사이클에 따라 상승기에는 매수, 하락기에는 매도 후 전세
    • 전세 전환은 자산 손실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
    • 집 한 채로도 사이클 전략을 통해 충분히 돈을 벌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