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보수&부동산투자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N
    • 홈
    • 태그
    • 방명록
    반응형
    카테고리 없음

    지방 부동산 투자 방법 1

    지방 부동산 하락, 그냥 떨어지는 게 아니다지방 시장이 하락하는 이유는 단순히 ‘공급이 많아서’가 아닙니다. 하락이 일어나려면 ‘심리적 전환’과 ‘기반 여건’이 함께 조성되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다음의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됩니다. 목차 1. 초과 공급 + 높은 가격 = 하락 기반 형성2015~2016년: 지방 전역에서 급등장세결과: 신규 분양 폭증 → 주택보급률 105~110%핵심 포인트: 공급이 많아도 가격이 낮으면 버틸 수 있지만, 공급이 많고 가격이 높아지면 소비자 심리가 위축됩니다.2. 심리의 붕괴, 시작은 ‘미분양’아무리 전문가들이 말해도 실제로 ‘눈으로 확인 가능한 현상’이 생겨야 사람들은 움직입니다.그게 바로 미분양입니다.신규 아파트가 완공되고도 안 팔리는 상태입주 미분..

    2025. 4. 22. 09:40
    카테고리 없음

    역세권 주상복합 아파트, 투자해야 할까? 장단점 분석!

    최근 부동산 시장이 다시 꿈틀대기 시작하면서, 많은 분들이 "이제 아파트 투자를 다시 시작해볼까?"라는 고민을 하게 됩니다. 특히 역세권 주상복합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투자해도 괜찮을까?"**라는 질문을 자주 듣게 되는데요.오늘은 주상복합 아파트의 개념부터 과거와 현재의 변화, 그리고 투자 관점에서 봤을 때 유리한 점과 주의할 점까지 자세히 짚어드리겠습니다. 목차 주상복합 아파트란?주상복합이란, 말 그대로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이 결합된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주로 상업지역 또는 준주거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역세권 및 도심 중심지에 많이 분포되어 있죠.과거에는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상업지 위에 아파트를 짓는 특례 케이스로 허가가 나면서 등장했고, 타워팰리스와 같은 사례로 대중의 관심을 ..

    2025. 4. 17. 13:54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시장의 심리와 분위기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시장에서 심리와 분위기가 실제로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생생한 사례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실제로 일선 현장에서 있었던 이야기로, 이론이나 통계만으로는 절대 알 수 없는 부동산의 민낯을 잘 보여주는 이야기죠.이번 글에서는 2013년, 미분양 아파트가 어떻게 곰팡이까지 팔리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통해 부동산의 사이클과 사람의 심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500세대 미분양, 곰팡이 집도 팔린다?2013년, 분양 후 4년이 지나도록 팔리지 않고 남아있던 아파트가 있었습니다.총 2,000세대 중 500세대가 빈집으로 남아 있었고, 일부는 결로와 곰팡이까지 퍼져 상태가 좋지 않았죠.당시 시장 분위기는 바닥이었고, 관심은 많았지만 실제로 계약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2025. 4. 16. 13:08
    카테고리 없음

    호재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어떤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시장에서 자주 듣게 되는 단어 ‘호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많은 분들이 부동산을 선택할 때 ‘호재’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계시죠. 하지만, 그 ‘호재’가 때로는 오히려 위험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점, 혹시 알고 계셨나요?오늘 글에서는 호재가 왜 위험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그 이유를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호재는 정말 ‘좋은 재료’일까?많은 사람들이 "호재가 생기면 부동산 가격은 반드시 오른다"는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GTX, 대기업 입주, 신도시 개발 같은 소식이 들리면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은 빠르게 들썩이곤 하죠.하지만 진짜 문제는 그 호재가 언제, 어떻게, 얼마나 반영될지를 알 수 없다는 점입니다.호재는 실제로 반영되지 않았는데, 사람들의 기..

    2025. 4. 15. 12:37
    카테고리 없음

    집 살때 누구에게 물어보시나요?

    “집을 사도 될까?” 이 질문, 여러분은 누구에게 가장 먼저 물어보시나요? 아마 가족, 친구, 직장 동료 등 주변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하셨을 겁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렇게 해서 긍정적인 대답을 듣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목차 1. 주변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부정적인 조언을 합니다사람들은 누군가의 중요한 결정을 책임지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만약 “사라”는 말을 듣고 집을 샀는데, 가격이 떨어지면 어떡할까요? 조언해준 사람에게 원망이 가게 됩니다. 이걸 무의식적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은 부정적인 조언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즉, "지금은 좀 기다려봐", "요즘 부동산 안 좋아", "조심해" 같은 말들이 대부분이죠.하지만 그 사람들의 조언에는 책임감도 없고, 전문성도 없습니다...

    2025. 4. 14. 12:21
    카테고리 없음

    사람 심리가 부동산 시장을 움직인다 – 대중 심리의 힘

    하지만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심리학자 ‘다니엘 카너먼’은 “인간의 비합리적인 결정이 경제를 움직이는 핵심 요소”라고 주장하며 학계를 뒤흔들었습니다.부동산 시장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숫자와 데이터로만 예측할 수 없는 이유는, 시장의 중심에 **‘사람’**이 있기 때문입니다.모아 바이 현철님 역시 오랜 실무 경험을 통해 깨달은 것은, 결국 시장을 좌우하는 건 금리도, 인구도 아닌 바로 사람의 심리라는 사실입니다. 목차금리, 인구, 경기? 데이터로는 해석되지 않는 시장우리는 흔히 부동산 시장을 예측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를 따집니다:금리 변화인구 증감국내외 경제 흐름정부의 부동산 정책하지만 현철님은 이들 요소를 실제 사례에 대입해 본 결과, 일관된 결과를 얻은 적이 없다고 말합니다.금리가 오를 때..

    2025. 4. 11. 12:17
    • «
    • 1
    • ···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
    • 40
    • »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하자보수&부동산투자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